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의 모든 상괭이들은 어민들이 설치한 정치망에 들어와 나가지 못하고 그물에 엉켜서 부상을 당해 구조되어 왔습니다.
상괭이 보호활동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에서 건강을 되찾은 상괭이들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갑니다. 상괭이는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종으로 약 1.5m ~ 1.9m 정도의 크기에 몸무게는 72Kg정도 되는
해양포유류입니다. 영어 이름에도 알 수 있듯이 일반 고래류들과는 달리 등지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래류 중에서 몸집이 가장 작고 주둥이가 없으며 동근 앞 머리 부분이 입과 직각을
이루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도-태평양의 온난한 해안지역과 담수지역에 서식하고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의 섬 주변이 최대 서식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시대 최고 어류학서인 정약용의 ‘자산어보’에서
사람을 닮은 인어로 소개된 적이 있습니다.
과거부터 다른 고래류들과 달리 사람에 의해서는 거의 사냥이 되지 않지만 그물 어업으로 인해 하루에 수십여 마리가 혼획되어 폐사하거나 밍크고래로 둔갑되어 시장에서 거래되기도 합니다.
구조
그물 안에 먹이를 먹기 위해서 들어온 상괭이들이 수면위로 올라오지 못해 숨을 쉬지 못하거나 외상을 입기도 합니다. 어민들과 해경의 제보를 받아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과 고래연구소는 상괭이 구조를 위해 현장에 즉시 출동하여 그물에 걸린 상괭이를 구조, 건강상태를 확인합니다. 구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으로 이송하며 건강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현장에서 즉시 방류합니다.
재활
이송된 상괭이는 치료와 함께 바다로 다시 돌아갈 재활훈련을 받습니다. 정기적인 검사와 함께 다양한 먹이와 영양제를 투여하고 자연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상의 수질 유지하며 다시 바다로 돌아갈 수 있는 건강상태를 만들어 줍니다. 이후 원서식지로 이동하여 먹이를 사냥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약 한 달간의 야생적응훈련을 진행합니다. 야생의 습성을 최대화 시키기 위해 아쿠아리스트와의 접촉을 최소하고 살아있는 먹이를급이합니다. 방류 Release 약 한 달간의 야생적응훈련이 끝나고 건강에 이상이 없고 지방층 두께, 계절 조건, 바다 수온이 최적화 되었을 때 방류여부를 결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스스로 살아있는 먹이를 사냥해서 먹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스트레스를최소화하여 스스로 야생훈련을 했던 해상가두리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물을 열어 상괭이가 다시 바다로 돌아가도록 합니다.
방류
약 한 달간의 야생적응훈련이 끝나고 건강에 이상이 없고 지방층 두께, 계절 조건, 바다 수온이 최적화 되었을 때 방류여부를 결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스스로 살아있는 먹이를 사냥해서 먹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스트레스를최소화하여 스스로 야생훈련을 했던 해상가두리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물을 열어 상괭이가 다시 바다로 돌아가도록 합니다.
구조된 바다거북은 외상 치료 후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서 상태를 확인합니다.
구조
바다거북이 그물에 걸려 혼획되거나 부상으로 인해 좌초되었을 경우 인근 주민과, 해경, 119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좌초 사실을 제보와 보고를 받습니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직접 현장으로 출동하여 바다거북의 건강상태를 확인합니다. 구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양생물 서식지외 보호기관인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으로 이송하고 건강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현장에서 즉시 방류합니다.
재활
구조된 바다거북은 외상 치료 후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서 상태를 확인합니다. 오징어, 새우, 미역,도루묵 등 다양한 먹이를 주며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수조 내 환경을 최대한 서식지와 비슷하게 조성하고 영양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영양제를 꾸준히 공급합니다.
방류
재활을 통해 건강을 완전히 회복한 바다거북은 등갑에 GPS를 부착하고 해운대 앞바다에서 방류를 합니다. GPS를 등갑에 부착하는 이유는 바다거북의 회유경로와 생존여부를 파악하여 바다거북에 대한 중요한 연구자료로 이용합니다.